매사추세츠 한인들이여, 이제 더 이상 침묵할 수 없다!

매사추세츠 한인회는 하버드 로스쿨 소속 존 마크 램자이어 교수의 최근 발행한 논문 ‘Contracting for Sex in the Pacific War’에서 위안부와 매춘부를 동일시하며 “일본 정부에 의해 납치되지 않았다”, "위안부는 강제성이 없는 계약으로 자발적인 성노동을 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위안부 피해자분들의 아픔을 일본 정부가 책임질 필요가 없다는 결함투성이의 주장을 내세우고 있는 마크 램자이어 교수의 망말 주장을 강력하게 규탄하는 성명서를 발표하였다.
매사추세츠 한인회는 성명서를 통해 "입에조차도 담기 싫은 '태평양 전쟁의 성매매 계약(Contracting for sex in the Pacific War)'이라는 어처구니없는 램자이어의 망발에 견딜 수 없는 모욕과 수치감을 감출 길이 없다. 우리가 이역만리 타국에 와 살지만, 어찌 이런 피가 거꾸로 솟을 일 앞에 귀 닫고, 입 다물고, 침묵으로 있을 수 있단 말인가."라며 "'위안부들과의 자발적 고용계약'이라는 가당치도 않은 주장을 펼치는 램자이어 교수의 교수직을 박탈하고 역사왜곡으로 점철된 그의 논문을 학술지에 실릴 수 없도록 우리 한인들이 목소리를 높이고 힘을 합쳐야 한다." 고 주장했다.
다음은 매사추세츠 한인회에서 발표한 램자이어 교수 위안부 망언에 대한 규탄 성명서 전문이다.
<매사추세츠한인회 성명문>
매사추세츠 한인들이여, 이제 더 이상 침묵할 수 없다!
"하버드 로스쿨에 소속된 존 마크 램자이어 교수는 최근 발행한 논문 ‘Contracting for Sex in the Pacific War’에서 위안부와 매춘부를 동일시하며 “일본 정부에 의해 납치되지 않았다”라는 의견을 교묘하게 암시한다. 이 논문은 ‘위안부는 강제성이 없는 계약으로 자발적인 성노동을 한 것’이라는 잘못된 전제에서부터 시작됐을 뿐만 아니라 위안부 피해자분들의 아픔을 일본 정부가 책임질 필요가 없다는 결함투성이인 주장을 내세운다. 또한 역사적 왜곡으로 점철된 이 논문은 하버드라는 권위를 달고 익월 ‘International Review of Law and Economics’이라는 학술지에 실릴 예정이다. 가해 역사를 부정하면서 법적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일본 정부와 일본 극우 세력의 주장을 뒷받침하는데 이 논문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출처: 하버드대 학부 유학생회>
입에조차도 담기 싫은 '태평양 전쟁의 성매매 계약(Contracting for sex in the Pacific War)'이라는 어처구니없는 램자이어의 망발에 견딜 수 없는 모욕과 수치감을 감출 길이 없다. 우리가 이역만리 타국에 와 살지만, 어찌 이런 피가 거꾸로 솟을 일 앞에 귀 닫고, 입 다물고, 침묵으로 있을 수 있단 말인가. "1~2년의 선급금을 주고, 원할 경우 그만둘 수 있었다"라고 말하는 '위안부들과 고용계약'이라는 가당치도 않은 말을 스스럼없이 토해내는 저 램자이어를 교수의 자리에서 끌어내려야 한다. 발표될 수도, 발표할 수도 없는 역사적 왜곡으로 채워진 이 논문을 학술지에 실릴 수 없도록 우리 한인들이 목소리를 높이고 힘을 합쳐야 한다.
하버드대 한국사 카터 에이커 교수는 "경험적, 역사적, 도덕적으로 비참할 정도로 결함이 있다"라고 말했다. 우리는 더욱 내 조국의 가슴 아픈 일이 아니던가. 우리가 이렇게 침묵할 수는 없다. 또한, "근거 자료가 부실하고 학문적 증거를 고려할 때 얼빠진 학술 작품"이라고 코네티컷대 역사학과 알렉시스 더든 교수도 말을 했다. 이처럼 역사를 연구하는 교수들조차도 가치 없는 논문이라고 말을 해주는데 우리가 어떻게 더 침묵할 수 있겠는가. 우리는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다. 살금살금 날름날름 우리의 살점을 집어삼키려는 저 독사의 혓바닥을 그냥 둘 수가 없다.
램자이어 교수는 지난 2019년 3월 하버드대학 로스쿨 교수진 논고(論告)에 ‘위안부와 교수들’(Comfort Women and the Professors)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1930~1940년대 일본군이 10대 한국 소녀 20만 명을 강제로 위안소로 데려갔다는 것은 기묘한 주장”이라며 “강제 동원이라는 기록과 증거가 없는 상황인데도 한국 정부는 ‘위안부는 매춘’이라고 주장한 교수를 명예훼손으로 기소하고 6개월 감옥살이까지 시켰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더 나아가 위안부 문제는 비단 대한민국만이 겪은 아픈 역사가 아니다. 1996년 유엔 인권보고서에서도 볼 수 있듯 위안부 강제 동원은 아시아에 위치한 수많은 국가에서 일어난 국제적인 비극이다. 위안부 강제 동원은 세계 어디서나 다시는 반복되면 안될 반인륜적 만행이며 이를 정당화하거나 부정하는 시도는 마땅히 도덕적 지탄을 받아야 한다. 인류 보편적인 가치를 훼손하는 행위에 대해 로렌스 바카우 하버드대 총장, 존 매닝 하버드 로스쿨 학장은 공식적으로 규탄을 해야 하며 ‘International Review of Law and Economics’ 학술지도 논문 게재를 철회해야 한다. 최종적으로 미쓰비시 중공업과 램자이어 교수의 관계에 대해서도 논하고자 한다. 램자이어 교수는 1998년 ‘Mitsubishi Professor of Japanese Legal Studies’라는 직함을 받고 하버드 로스쿨의 종신직 교수로 임명되었다. 언론들에 의해 “대표적인 전범 기업”으로 불리는 미쓰비시 중공업에서 기여한 기금으로 임명된 학자로서 일본 과거사 문제에 대해 얼마나 학구적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출처: 하버드대 학부 유학생회>
기억하실 분들은 기억하실 것이다. 2007년의 이용수 할머니가 하버드 대학에 오셔서 울부짖으시던 그 모습을 말이다. 십여 년 전(April 28 Saturday 2007)오후 3:00 pm에는 하바드 대학의 'Bell Hall, John F. Kennedy School of Govemment'에서 와싱턴에 먼저 들러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방미에 맞춰 미국을 찾은 이용수 할머니는 4월 26일 오후 워싱턴 미 의회 주변에서 미국 방문을 마치고 다음 방문지역인 중동으로 향해 출발하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를 향해 2차대전 당시 '일본군의 종군위안부 강제동원에 대한 사죄를 요구하는 피켓'을 들고 일인 거리시위를 벌였었다. 그리고 이용수 할머님은 4월 28일 보스턴의 '하버드대학 존 F 케네디스쿨 벨퍼빌딩 5층 벨 홀'에서 종군위안부에서 겪었던 자신의 참혹한 생활을 증언하며 '위안부의 실상 - 그들의 과거 현재 미래'란 제목으로 열렸었다.
이용수 할머니는 중간중간마다 증언을 하면서 울분을 토하기도 하였지만 그러나 당당했다. 일본의 참혹한 성 노예의 이름인 '위안부'라는 이름으로 불렸지만 그래도 내 이름은 부모님이 지어주신 이용수'라고 당당하게 증언을 하는 모습은 가히 '대한민국의 여인이었다'. 이용수 할머님 자신의 과거의 아픈 상처마저도 숨기지 않고 밝히려는 그 용기는 한 개인의 억울함이라기보다는 한 나라의 슬픔이고, 내 조국의 아픔이고 고통이었기에 가능했으리라. 이용수 할머니는 거듭 증언의 목소리를 높였다. "아마도, 일본 정부는 이렇게 살아서 증인으로 있는 내가 죽기만 바라지만, 일본의 공식 사죄와 법적 배상 없이는 이 문제는 결코 해결될 수 없다고 강한 의지를 밝혔다"
우리는 더 이상 침묵할 수 없다. 매사추세츠 한인들이여, 이제 더 이상 침묵할 수 없다! 한인들이여 우리 함께 목소리를 높여 외치고 하버드대 학부 유학생들 그들의 목소리와도 힘을 합쳐 큰 함성으로 외치자. 우리는 더 이상 침묵할 수 없다. 매사추세츠 한인들이여, 이제 더 이상 침묵할 수 없다!
매사추세츠한인회
회장 서영애
부회장 신 영
이하임원진 일동